사이트맵
  • 학과 소개
  • 한눈에 보는 학과
  • 주임교수 인사말
  • 학과 연혁
  • 오시는 길
  • 사람들
  • 교수
  • 명예교수
  • 직원
  • 연구
  • 연구분야
  • 연구센터
  • 학부
  • 입학안내
  • 학사일정
  • 교과과정
  • 장학제도
  • 프로그램
  • 대학원
  • 입학안내
  • 학사일정
  • 학위과정
  • 장학제도
  • 뉴스 및 행사
  • 학과뉴스
  • 공지사항
  • 연구실 탐방
  • 우리들 이야기
  • 포토갤러리
SITE MAP
  • ABOUT
  • MSE at a glance
  • Welcome remark
  • History
  • Directions
  • PEOPLE
  • Faculty
  • Emeritus Faculty
  • Staff
  • RESEARCH
  • Research Areas
  • Research Centers
  • ADMISSION
  • Admission
  • Curriculum
  • GRADUATE
  • Admission
  • Degree Program
  • Financial Aid
MSE POSTECH MSE POSTECH MSE POSTECH
  • 학과 소개
    • Back
    • 한눈에 보는 학과
    • 주임교수 인사말
    • 학과 연혁
    • 오시는 길
  • 사람들
    • Back
    • 교수
    • 명예교수
    • 직원
  • 연구
    • Back
    • 연구분야
    • 연구센터
  • 학부
    • Back
    • 입학안내
    • 학사일정
    • 교과과정
    • 장학제도
    • 프로그램
  • 대학원
    • Back
    • 입학안내
    • 학사일정
    • 학위과정
    • 장학제도
  • 뉴스 및 행사
    • Back
    • 학과뉴스
    • 공지사항
    • 연구실 탐방
    • 우리들 이야기
    • 포토갤러리
KR EN
Copyright All Rights Reserved © 2015
  • 학과 소개
    • 한눈에 보는 학과
    • 주임교수 인사말
    • 학과 연혁
    • 오시는 길
  • 사람들
    • 교수
    • 명예교수
    • 직원
  • 연구
    • 연구분야
    • 연구센터
  • 학부
    • 입학안내
    • 학사일정
    • 교과과정
    • 장학제도
    • 프로그램
  • 대학원
    • 입학안내
    • 학사일정
    • 학위과정
    • 장학제도
  • 뉴스 및 행사
    • 학과뉴스
    • 공지사항
    • 연구실 탐방
    • 우리들 이야기
    • 포토갤러리
KR EN
  • home
    • 사람들
      • 직원
      • 명예교수
      • 교수
      • Faculty
      • Staff
      • Emeritus Faculty

교수

Research Areas
구조재료기술 / 소재분석·시뮬레이션기술
Hyoung Seop Kim

김형섭

이메일 hskim@postech.ac.kr
홈페이지 http://snmpl.postech.ac.kr/
박사학위 서울대학교
연구실 구조용 나노금속 공정 연구실
연구주제 multi-scale modeling, 구조용 나노금속 미세역학, 다공체/생체역학, 국방/극한재료
구조재료기술
소재분석·시뮬레이션기술
작성자
관리자
작성일
2020-09-25 19:56
조회
792
Vote
0

물리야금은 금속으로 유용한 제품을 만드는 공학입니다. 금속 부품은 완제품에서 원하는 모양, 특성 및 비용에 따라 다양한 방식으로 제조될 수 있습니다. 바람직한 특성은 전기, 기계, 자기 또는 화학적 성질이며; 이들 모두는 합금화, 가공 이력 및 토폴로지를 통해 향상될 수 있습니다. 완제품의 비용은 종종 재료의 비용보다 제조의 용이성에 의해 더 많이 결정됩니다. 이로 인해 금속을 형성하는 다양한 방법이 생겨 났으며 다양한 성형 및 가공 방법뿐만 아니라 다른 재료 간에도 활발한 경쟁이 벌어졌습니다. 우리는 현 시대를 물리야금의 르네상스라고 부릅니다. 이는 1) 고 엔트로피 합금 개념을 통한 새로운 합금의 폭발적인 개발, 2) 금속 적층제조 (3D 인쇄)에 의한 4차 산업혁명, 3) 인공지능 (AI)의 새로운 방법론에 의한 혁신적인 컴퓨터 시뮬레이션 기술의 디지털 트위닝과 결합된 머신 러닝 유한요소법, 상장모델링, 분자동역학, 밀도함수이론이 이를 가능케합니다. 우리는 도전적인 정신을 가진 개척 학생들을 환영합니다.

« 손준우
김종환 »
목록보기
Powered by KBoard
개인정보 처리방침
tell : 054-279-2715 E-mail : mira@postech.ac.kr
주소 : 37673 경상북도 포항시 남구 청암로 77 (효자동 산31)
COPYRIGHT @ 2010 POSTECH Materials Science & Engineering. All Rights Reserved
주요 사이트 바로가기더보기
POSTECH BK21FOUR POVI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