고엔트로피합금 연구단
Center for High Entropy Alloy

고엔트로피합금 연구단은 과학기술정보통신부가 주관하는 ‘미래소재디스커버리사업’ 공모에 선정됨에 따라 설립되었다(연구단 단장 : 김형섭 교수). 본 연구단은 계산재료과학, 재료정보학, 조합실험법 등 소재개발의 혁신적 방법론을 적용하여 극한환경용 다기능 고엔트로피합금 개발을 목표로 한다.
고엔트로피 합금은 종래의 합금과는 달리 다수의 주요 원소로 이루어진 합금으로, 다양한 합금 원소의 조합을 통해 500만개 이상의 합금 조합이 가능하다. 본 연구단은 무한에 가까운 합금조성 조합에서 우수한 물성을 나타내는 고엔트로피합금을 개발하기 위하여 ‘설계-실험-평가’에 이르는 Multi-Physics Full-Scale 통합형 모델링 기법을 제안한다. 이를 통해 최종적으로 고엔트로피 합금의 산업적 응용 기반을 마련하고자 한다.

-2020-06-19–8.02.16
이차전지 재료기술연구소
Materials Research Center for Batteries

환경과 에너지에 대한 문제에 관심이 지속적으로 증가하면서 이를 해결하기 위한 솔루션 중에 하나인 에너지 저장 장치에 관심이 증대되고 있다. 특히, 전기 자동차 및 신재생 에너지 사용의 확대가 이러한 문제점들을 해결하기 위한 필수적인 수단으로 인식되면서 이것을 가능하게 할 수 있는 고용량, 고출력, 안전한 이차 전지에 대한 관심이 폭발적으로 증가하고 있다. 이차 전지의 성능은 사용되는 소재들에 의해서 좌우되기 때문에 새롭게 요구되는 성능을 구현하기 위해서는 핵심인 소재들에 대한 체계적이고 지속적인 연구가 필요하다. 이러한 목적을 가지고 연구를 수행하기 위해서 세라믹, 반도체, 고분자 소재에 집중하고 있는 다양한 연구실을 참여하여 2017년 이차전지 재료기술연구소 (Materials Research Center for Batteries)가 설립되어졌다.

주 연구 분야는 기존에 알려진 리튬 이차전지 소재 물질 뿐만 아니라 차세대 유연 전기전자 장치에 사용될 수 있는 에너지 저장 유연 소재와 세라믹 기반의 전고체 전지를 위한 소재들과 이것을 구동하기 위한 소자를 만들 수 있는 소재들에 집중되어 있다. 특히, 본 연구소에서는 새로운 소재의 연구를 통해서 차세대 소재 기술의 선점하고 기술화하는 것을 목표로 하고 있으며 이러한 소재를 활용한 차세대 전기전자 장치를 개발하는 것을 목적으로 하고 있다. 이를 위해 다양한 소재 및 소자를 연구하는 실험실이 본 연구소에 참여하고 있다.

-2020-06-19–8.03.132x
정보 신소재 연구소
Center for Information Materials

IT 분야의 급격한 성장이 지속됨에 따라 신제품 혹은 신기술 개발을 위한 기초소재 연구의 필요성이 증대되고 있다. 신소재 개발의 특성상 충분한 연구비와 연구기간을 확보한 가운데 지속적인 연구가 수행되어야 하며, 여러 분야의 기술이 동시에 요구되는 경우 효율적인 연구 수행을 위해 다양한 연구실을 결집시킨 연구단을 조직해야 한다. 이에 2002년 신소재공학과 내 세라믹, 반도체, 고분자, 분석 재료 분야의 연구 인력을 결집하여 정보신소재연구소 (Center for Information Materials)을 설립하였다.

주 연구분야는 기존에 알려진 정보 신소재에서 벗어난 최첨단 신소재를 전자 및 광학 소자에 적용하여, 고속/초절전/초민감성/다기능성 소자를 개발하고 기술화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현재 반도체 소재 합성-세라믹(유리) 소재 합성-반도체 분석-고분자 소재 합성 – 광학 소자 분석 관련 연구인력이 본 연구소에 참여하고 있으며, 본 사업을 통해서 수월성 있는 학술논문 게재, 학술회의/세미나 개최 및 기술 개발/이전 및 사업화를 추진하고 있다.

-2020-06-19–8.03.51
효성-포스텍 산학일체연구센터
Hyosung-POSTECH University-Industry Integration Research Center

기업과 대학의 ‘일체’를 통해 더 큰 가치를 창출함을 목표로 2017년 4월 출범한 연구 센터이다. 포스텍의 금속, 나노분야 및 기계가공 이론 분야 연구진과 효성의 파견 연구원들이 중심이 되어 고강도 정밀 와이어(스틸코드) 분야에서 세계 시장 리드를 위한 연구를 진행하고 있다. 스틸코드는 효성이 2011년 세계적인 타이어 제조업체인 굿이어와 단일공급계약으로는 업계 최대 규모의 장기공급계약을 체결할 만큼 세계적으로 우수성을 인정받는 분야다.

-2020-06-19–8.04.42
단원자층 에너지소재 연구단
Center for Energy Materials with Single Atomic Layer (CEMSAL)

본 연구단은 과학기술정보통신부가 주관하는 ‘2019년도 미래소재디스커버리사업’ 공모에 최종 선정됨과 동시에 설립되었다. 연구단은 연구책임자 김용태 교수를 필두로 포항공과대학교, 한국과학기술원, 광주과학기술원, 울산과학기술원, 포항가속기연구소, 한화케미칼이 컨소시엄을 구성하고 있으며, 교수급 공동연구원 총 11명이 포진해 있다. 연구단은 디-밴드 엔지니어링(d-band engineering) 기반의 기존 촉매 연구방법론에서 벗어나 피-디 하이브리드제이션(p-d hybridization)을 통해 중간체의 흡착세기를 선택적으로 조절할 수 있는 단일금속원자 촉매를 디자인하는 혁신적인 기법을 제안한다. 이를 통해 최종적으로 에너지 변환 및 저장용 전극 개발의 한계로 여겨져 온 스케일링 릴레이션(scaling relation)에서 완전히 벗어날 수 있는 단일금속원자 에너지 소재 기술에 세계 최초로 도전한다.

center5_image2x
인공지능 소재해석 연구소
AI-based materials imaging & analysis center

인공지능 소재 해석 연구소는 소재 이미징 분석 및 해석 시스템 구축 및 최적화를 통해 포항공과대학교 신소재공학과가 소재 분야의 첨단분석연구의 선도를 목표로 한다. 이를 기반으로 다양한 소재 연구 분야와의 협력 체계를 구축하고 다학제간에서의 소재 분야 연구 수준을 함께 향상시키는 시너지 효과를 창출한다.

center6_image2x
단원자 기반 반도체소자 연구소
Center for Single Atom-based Semiconductor Device

급속도로 성장하는 사물인터넷 시장에는 초저전력 반도체 소자 기술의 개발이 필요하지만, 현재 실리콘 MOSFET 기술로 이러한 요구조건을 만족하는 소자를 개발하는 것은 불가능하다. 대안으로 간단한 2-단자 구조와 단원자 단위의 정교한 이온 제어를 통해 동작하는 신개념 반도체 소자를 개발하고 있다. 이를 통해 나노스케일의 메모리, 스위치 및 배터리소자 원천기술을 개발하고 이의 동작원리를 규명한다. 우리 연구소는 원자단위의 이온제어 기술을 활용하여 차세대 시냅스 소자와 이를 통해 인공 지능 하드웨어 개발을 목표로 한다. 특히 interfacial/filamentary RRAM, CBRAM 등의 시냅스 소자의 특성 최적화, 그리고 cross-point array 기반 뉴럴네트워크 하드웨어 시뮬레이션 및 구현에 대한 연구를 진행하고 있다.

center7_image2x
POSTECH LED 센터
POSTECH LED Center

에너지 절약 및 탄소가스 배출감소 필요성이 대두됨에 따라 LED는 기존 광원에 비해 에너지 효율이 높고 수명이 길어 친환경적 측면에서 이상적인 광원으로 각광받고 있다. 이러한 LED는 디스플레이, 자동차, 전광판, 조명 분야 등 다양하게 사용되고 있으며 그 응용 분야가 확대되고 있어 큰 고부가가치를 창출하는 신성장동력산업이다. 이러한 LED 시장 진입을 위해 발광 효율 증대 및 가격 절감을 위한 원천 기술 개발이 필수적이다. 고효율 LED 구현을 위한 기술은 LED 에피층 성장, LED 소자 제작 기술, LED 분석 기술, 형광체 개발, LED 패키지, 광추출 구조 형성, 전산모사 등으로 구성되어 있다. 연구 내용의 다양성과 복잡성을 고려하여 2011년 신소재공학과 내 다양한 반도체 분야의 전문가들을 결집하여 POSTECH LED 센터를 설립하였다.
본 센터는 고효율 LED 에피층 성장, 고효율/고출력 소자구조 제작, LED 결정 구조 및 계면분석, 고효율 광변환 형광 소재 개발, Graphene 및 나노구조를 이용한 응용 기술 개발, 광학 시뮬레이션을 이용한 전산 모사 등을 통한 고효율 고출력 LED 제조 원천 기술 개발을 통한 특허 포트폴리오를 구축하여 기술 이전 및 사업화를 목표로 하고 있다.

center8_image2x
스마트 헬스케어 소재 연구소
Smart Healthcare Materials Research Institute

4차 산업혁명 시대를 맞아 다학제간 융합연구를 기반으로 하는 스마트 헬스케어 시스템 개발에 대한 연구가 전세계적으로 활발하게 진행되고 있다. 스마트 헬스케어 소재 연구소(Smart Healthcare Materials Research Institute)는 다기능성 소재, 화학, 생명, 의료, 전자 및 IoT 융합기술을 기반으로 혁신적인 헬스케어용 웨어러블 또는 체내이식형 임플랜트 디바이스 개발을 위해 설립되었다. 한세광 교수가 연구소장을 맡고 있으며 정운룡, 정성준, 오승수, 김연수, 이준민 교수가 참여하고 있다. 각 분야별 창의적, 유기적, 다학제간 융합연구를 통해 헬스케어 소재 및 디바이스 관련 세계적 수준의 원천기술을 개발하여 원격의료와 같은 신의료기술을 선도하는 연구소로 성장하고자 한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