0

[23.11]정운룡 교수, 박사과정 조우성_”정전기를 붙잡아라”…포스텍, 트랩으로 센서 성능 지속시키는 기술 개발

추운 겨울, 누구나 한 번쯤 옷을 입다가 찌릿한 느낌 때문에 깜짝 놀란 적이 있을 것이다. 피부와 옷이 닿을 때 전하가 이동하면서 순간적으로 정전기가 발생한다. 이 마찰 전기는 별도의 외부 전력이 필요하지 않아 전자 피부나 의료용 센서 등 여러 분야에서 활발하게 연구되고 있다. 다만, 정전기를 감지하는 센서에 충전된 전기가 오래 지속되지 않는다는 [...]

0

[23.11] 이병주 교수,김형섭 교수,통합과정 왕재민,박사과정 정상국,통합과정 김은성 _금속제품 최적 설계, AI가 알아서 ‘척척’

국내 연구팀이 최적의 설계 조건을 알려주는 인공지능(AI) 모델을 개발했다. 금속 종류에 관계없이 적용 가능해 금속 제품 생산 효율을 크게 높일 전망이다. 포항공과대학교(POSTECH·총장 김성근)는 신소재공학과 이병주 교수·통합과정 왕재민 씨, 친환경소재대학원 신소재공학과 김형섭 교수·박사과정 정상국 씨·통합과정 김은성 씨 공동 연구팀이 우수한 [...]

0

[23.11]김형섭 교수_포스텍 김형섭 교수 ‘한국소성가공학회’ 상우학술상 수상

포스텍은 친환경소재대학원 신소재공학과 김형섭 교수가 9일 한국소성 /가공학회의 최고상인 상우학술상을 수상했다고 16일 밝혔다. 김형섭 교수는 최근 ‘경량화된 이중상 구조의 중공 형태에 빠른 변형률 분포 분석’이라는 연구를 통해 서로 다른 상의 두 재료가 복합된 상태에서 힘을 가했을 때 힘의 분포를 분석했다. 이외에도 김 교수는 [...]

0

[23.11] 한세광 교수, 김태연 박사_금 나노 와이어를 이용해 지능형 의료용 통합 센서 개발

올림픽에서 가장 우수한 성적을 낸 사람은 금으로 된 메달을 받는다. 동서고금을 막론하고 금은 부와 명예의 상징이다. 금은 공기 중에서 안정하고 전기 전도성이 높아 의료용 및 에너지 분야에서 ‘1등 촉매’로 빛을 내고 있는데, 최근 최첨단 웨어러블(wearable) 기기 분야에서도 그 빛을 발해 주목을 모으고 있다. 신소재공학과 한세광 교수 · [...]

0

[23.11] 2023년 국가연구개발 우수성과 100선 선정 (신소재/융합 한세광 교수, 신소재 안종현 동문)

한국형 발사체 누리호 개발, 초소형유전자가위 개발 등이 2023년 국가연구개발 우수성과 100선에 선정됐다. 과학기술정보통신부는 ‘2023년 국가연구개발 우수성과 100선’을 선정했다고 9일 밝혔다. 우수성과 100선은 범부처적으로 우수한 국가연구개발 성과를 선정하는 제도로 올해 18년 차를 맞이했다. 올해는 각 부‧처‧청이 선별, 추천한 총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