학과소개

Overview
한눈에 보는 학과

연구 및 교육의 수월성

졸업생 취직 비율

취업 49%, 대학 22%

기업(연) 12%, 정부(연) 6%

해외 8%, 기타 3%

※ 박사(125)명 중 (2015 - 2020년)

졸업생 교수 임용

졸업생 동문 교원 임용 90명

(2020년 기준)

최우수 논문 Nature, Science 자매지 등

2021 : Science (3), Nature (17)

2020 : Science (6), Nature (13)

2019 : Science (3), Nature (1)

2018 : Science (2), Nature (7)

2017 : Nature (6)

대표적 임용케이스

POSTECH (7), 서울대 (4),

KAIST (3), 연세대 (2),

고려대 (3), 국외 (11)

대표적 임용케이스

POSTECH (7), 서울대 (4),

KAIST (3), 연세대 (2),

고려대 (3), 국외 (11)

최우수 논문 Nature, Science 자매지 등

2020 : Science (1), Nature (1)

2019 : Science (1), Nature (1)

2018 : Science (2), Nature (7)

2017 : Nature (6)

2016 : Nature (9)

대형 연구과제

집단사업 : 3개 사업 143억원(미소디, BRL)

개인과제 : 13개 과제 249억원(리더, 중견 외)

세계 대학 랭킹 학과랭킹

QS World University Ranking : 71위

Top 50 Under 50 : 7위

By Subject(Materials Science) : 33위

우수한 연구 및 교육 인프라

교육과정

기초재료과학 : 신소재과학, 소재구조론, 소재화학, 소재열역학

응용재료공학 : 세라믹소재/에너지기술, 유기고분자소재/
생체융합기술, 반도체양자소재/ 정보기술,
금속소재/구조재료기술

연구장비

대형장비 : 유기금속화학증착기 외 30종

고가장비 : 초고분해능 원자이미징 해석장치외 78종

연구센터

고엔트로피합금연구단 / 단원자층에너지소재연구단

이차전지재료기술연구소 / 정보신소재연구소

효성-포스텍 산학일체 연구센터 / 포스텍 LED 센터

단원자기반 반도체소자연구소 / 인공지능 소재해석연구소

스마트 헬스케어 소재 연구소

가속기

재료과학 연구에 최적화된
대형 분석시설

풍부한 학생 지원

학부 장학금

성적우수 장학금, 학업성취격려 장학금, 학과기금 장학금,

오하장학금, MSE글로벌 챌린지 장학금,

전공과목 SMP장학금, MSA장학금

대학원 장학금

4단계 BK21사업선정(2020.09-2027.08)
2,097백만원/연간

해외 파견 기회

해외탐방 : 2019년(3명), 2020년(미실시), 2021년(미실시)

해외단기유학 : 2019년(9명), 2020년(1명), 2021년(3명)

연구 참여 기회

학부생 연구참여 : 2019년(20명), 2020년(32명), 2021년(42명)

연구장학생 (하계/동계) : 2019년(13명), 2020년(미실시), 2021년(27명)

Welcome remark
주임교수 인사말
신소재공학은 미래기술의

혁신을 선도하는 기반학문 입니다.
포스텍 신소재공학과는 1986년 12월 대학 개교와 함께 금속/재료공학과(Dept. of Materials & Metallugical)로 개설되었습니다.
포스텍의 건학이념에서 “기초과학과 공학 각 분야의 첨단적인 연구에 중점을 두는 한편 소재산업 관련 연구에서는 세계적인 중심지로 발전하고자 한다.”고 천명한 바와 같이, 과학기술의 미래를 선도하여 인류의 삶에 기여하고자 하는 포스텍의 근간이 되는 학과로서 교육과 연구의 수월성을 실현하며 소재 분야에서 세계 수준의 학과로 발돋움 하였습니다.
21세기 들어 소재분야는 물론 신물질 개발, 차세대 에너지원 연구, 생체재료 연구 등의 관련분야 학문의 발전에 발맞추어 2001년 6월 신소재공학과(Dept. of materials Science & Engineering)로 명칭을 변경하여 지금까지 유지하고 있습니다. 지난 2020년에는 교육부 지원 4단계 BK사업에 선정되어 교육과 연구의 우수성을 인정받고 학과 장기발전의 기반을 더욱 단단히 다져나가고 있으며, 매년 30여명의 학사학위자, 50여명의 석·박사학위자를 배출하여 과학기술계와 산업계의 주역으로 자리잡아가고 있습니다.
포스텍 신소재공학과는 과학기술에 대한 열정과 소재분야 연구의 비전을 키우는 여러분의 관심과 동참을 기다립니다.

주임교수     황  현  상

화학
Chronicle
학과연혁
1986 ~ 현재
  • 2022.11정보신소재연구소-삼성전기 소재관련 산학협력 연구 및 인력 양성 협약 체결
  • 2022.02IBS 신규연구단 에피 반데르발스 양자물질연구단 출범( 단장: 조문호 교수 )
  • 2020.12제 6차 학과 장기발전계획 수립( 한세광 교수 )
  • 2020.104단계 BK21사업 선정
  • 2020.09제 11대 주임교수( 황현상 교수 )
  • 2014.06제 5차 학과 장기발전계획 수립( 조문호 교수 )
  • 2013.09BK21 플러스 사업( 창의산업형 소재인력양성사업단 ) 선정 ( 사업단장: 이병주 교수 )
  • 2008.02학과장기발전계획 수립 ( 김낙준 교수 )
  • 2007.09백성기교수 포스텍 제5대 총장 취임
  • 2006.062단계 BK21 지식산업형 소재 시스템사업단으로 선정
  • 2005.12정보신소재연구소 한국연구재단 중점연구소 지정 ( 소장: 허종 교수 )
  • 2004.06NURI 사업 대형사업단으로 선정
  • 2001.06학과명칭변경 ( 재료금속공학과 → 신소재공학과 )
  • 2000.12한국교육협의회 학과 평가 최우수 선정
  • 2000.10제3차 학과 장기발전계획 수립 ( 김규영 교수 )
  • 1999.12산업자원부 지원 금속재료혁신센터 지정
  • 1999.11BK21 핵심분야 2개 팀 지정 ( 양자구조재료팀, 전자세라믹 재료팀 )
  • 1995.10특수대학원 철강대학원 교육부 인가
  • 1995.10제2차 학과 장기발전계획 수립 ( 정진철 교수 )
  • 1995.06철강대학원 개원 및 제1회 입학식 ( 석사 54명 )
  • 1994.05우주항공재료연구센터 과학재단 우수연구센터 (ERC)로지정
  • 1992.08최초의 박사학위 수여 ( 박사5명 )
  • 1991.101차 학과 장기발전계획 수립
  • 1989.03학과명칭 변경 ( 금속재료공학과 → 재료금속공학과 )
  • 1986.12포항공대 개교와 동시에 금속재료공학과 개설
Location
오시는길
경상북도 포항시 남구 청암로 77 (효자동 산 31) 포항공과대학교 공학1동, 우편번호: 37673
T. 054-279-2715

KTX이용

KTX 스케줄 및 요금 조회: http://www.letskorail.com (서울 – 포항 약 2시간 30분)

시외버스이용

경유지 정보
서울, 경기, 부산, 대구, 울산, 강원, 경북, 경남, 전북, 전남, 충북, 충남, 강원
버스 이용 문의: 포항시외버스터미널
Tel. 1666-2313 (포항시외버스터미널ARS)
교통편
버스 이용 시(20분 소요)
포항시외버스터미널에서 207번(일반)버스 승차 → POSTECH 동문하차
택시 이용 시(포항시외버스터미널 ↔ POSTECH, 10분 소요)

버스 이용시(1시간 소요)
KTX역 에서 120, 305,5000번 승차 > 북구청 정류장 207번 환승 > 포스텍 동문 하차
택시 이용시(포항 KTX 역 <-> POSTECH, 25분 소요)

고속버스이용

경유지 정보
서울, 대전, 광주
버스 이용 문의: 포항고속버스터미널
Tel. 1666-6133
교통편
택시 이용 시(포항고속버스터미널 ↔ POSTECH, 20분 소요)

자가차량이용

서울 출발 시
경부고속도로 → 대구 → 포항고속도로 → 포항IC → 이동도로 → 이동사거리 → 신단지교차로 → POSTECH
경부고속도로 → 대구 → 포항고속도로 → 포항IC → 경주방향 → 유금IC → 유강터널 → POSTECH
대구 출발 시
대구 → 포항고속도로 → 포항IC → 이동도로 → 이동사거리 → 신단지교차로 → POSTECH
대구 → 포항고속도로 → 포항IC → 경주방향 → 유금IC → 유강터널 → POSTECH
부산 출발 시
경부고속도로 → 경주IC → 포항방향 → 유강터널→ POSTECH